23-05-12 Presentation

업데이트:     Updated:

카테고리:

태그:

[Q1.] 가변적(mutable) 인프라와 불변적(immutable) 인프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

가변적(mutable) 인프라와 불변적(immutable) 인프라는 인프라의 변경 가능성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.

  • 가변적(mutable) 인프라

    인프라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인프라를 의미하며, 변경 가능한 특성 때문에 인프라의 상태 변경이 자주 일어납니다.

  • 불변적(immutable) 인프라

    변경 불가능한 인프라를 의미하며, 인프라의 상태를 변경할 수 없는 특성 때문에 변경이 덜 일어납니다. 이러한 불변적(immutable) 인프라는 인프라의 상태를 변경하는 대신 새로운 인프라를 생성하고, 현재 인프라를 파기합니다.


[Q2.] Terraform의 선언적 방식으로 작성된 코드는 항상 인프라의 최신 상태를 의미합니다. Terraform은 어떤 방식으로 인프라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걸까요?


Terraform은 인프라를 선언적으로 정의하는 코드를 사용하여 인프라를 관리합니다. 이러한 방식은 인프라를 생성, 수정 및 삭제하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하고, 인프라의 상태를 코드로 관리함으로써 일관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 #Terraform은 이를 통해 항상 최신 상태의 인프라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
또한, Terraform은 *이전에는 수동으로 수행*되었던 인프라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고, 예측 가능한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개발자와 운영팀 간의 협업을 강화합니다. 이를 통해 개발자는 인프라를 더 빠르게 배포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, 운영팀은 안정적인 인프라 운영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.

따라서, Terraform은 선언적 방식으로 작성된 코드를 사용하여 인프라를 관리하므로, 항상 최신 상태의 인프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인프라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

Presentation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 🤠

댓글남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