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3-04-06 Presentation
카테고리: Presentation
[Q1.] 소켓과 포트의 특징을 작성하고, 그 차이점을 설명하세요.
-
소켓과 포트
-
소켓
프로세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 지점입니다. 예를 들어, 소켓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.
-
포트
네트워크에서 호스트 내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웹 서버는 보통 80번 포트에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소켓과 포트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되는 위치입니다. 소켓은 로컬 컴퓨터 내에서 사용되는 반면, 포트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됩니다. 그러나 둘 다 프로세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됩니다.
-
[Q2.] HTTP 버전별 특징과 차이점을 설명하세요.
HTTP 버전별 특징과 차이점
HTTP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. HTTP 버전별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.
-
HTTP/0.9
- HTTP/0.9는 단순한 요청과 응답을 위한 프로토콜이었습니다. 이 버전은 GET 메서드만 지원하며, 헤더와 본문이 없는 단순한 텍스트 요청만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.
-
HTTP/1.0
- HTTP/1.0은 헤더와 본문으로 구성된 요청과 응답을 지원하며, 연결 유지 및 응답 상태 코드도 추가되었습니다. 이 버전에서는 GET, POST, HEAD 메서드가 지원되며, MIME 타입과 쿠키를 지원합니다.
-
HTTP/1.1
-
HTTP/1.1은 1997년에 처음 소개되었습니다. 이 버전은 이전 버전인 HTTP/1.0의 단점을 보완하고, 더욱 효율적인 웹 페이지 로딩을 가능하게 합니다. HTTP/1.1에서는 지속적인 연결을 위해 파이프라인 연결 및 청크 전송 인코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여러 요청과 응답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성능이 향상됩니다.
또한, HTTP/1.1에서는 가상 호스팅, 쿠키, 캐시, 그리고 보안 기능을 추가했습니다. 가상 호스팅은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도메인을 호스팅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쿠키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, 캐시는 서버에서 전송된 리소스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저장하여 다음 요청 시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 보안 기능은 HTTPS를 통해 제공됩니다.
HTTP/1.1에서는 DELETE, PUT, OPTIONS, TRACE 메서드를 추가로 지원하며, 호스트 및 연결 헤더도 추가되었습니다.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이 더욱 유연해졌습니다.
하지만, HTTP/1.1에서는 여전히 성능 문제가 있습니다. TCP 커넥션을 매번 새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, 불필요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하나의 요청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기 전에는 다른 요청을 보낼 수 없기 때문에,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문제는 HTTP/2에서 개선되었습니다.
-
-
HTTP/2
-
HTTP/2는 이전 버전인 HTTP/1.1의 단점을 보완하고, 더욱 효율적인 웹 페이지 로딩을 가능하게 합니다.
HTTP/2에서는 이전 버전과 달리 이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, 이전의 텍스트 프로토콜보다 더욱 빠른 속도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습니다. 또한, 멀티플렉싱과 스트림 우선순위, 서버 푸시 등의 기능을 지원하여, 더욱 빠른 페이지 로딩과 더 많은 요청 처리가 가능해졌습니다.
HTTP/2에서는 이전 버전의 문제였던 불필요한 요청과 응답을 줄여 속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이전 버전에서는 하나의 요청에 대한 응답이 완전히 처리되어야 다음 요청을 보낼 수 있었지만, HTTP/2에서는 여러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, 더욱 효율적인 요청 처리가 가능해졌습니다.
HTTP/2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웹 페이지 로딩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. 이전 버전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느린 페이지 로딩 속도가 문제였지만, HTTP/2에서는 더욱 빠른 속도와 더 많은 요청 처리가 가능해져서, 모바일 기기에서도 빠른 웹 페이지 로딩이 가능해졌습니다.
이러한 이유로, HTTP/2는 현재 많은 웹 사이트에서 적용되고 있으며, 더욱 효율적인 웹 페이지 로딩을 위해 필수적인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.
-
-
HTTP/3
- UD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송되어 데이터 전송 효율과 보안성이 개선되었으며, 중간에 위치한 네트워크 장비들의 영향을 적게 받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해졌습니다.
댓글남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