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3-03-29 Presentation

업데이트:     Updated:

카테고리:

태그:

Q1. RDBMS에서 스키마 디자인 중 필드값으로 배열을 넣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했습니다. 선배 개발자에게 물어보니, 이 경우에는 정규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해줍니다. 다음은 사용자 정보가 담긴 user 테이블입니다. 사례를 통해 어떻게 테이블을 정규화할 지 고민해보세요.


id name age email hobby    
1 김코딩 19 kimcoding@aaa.com 코딩    
2 박해커 28 hackerpark@bbb.com 해킹    
3 최고수 18 choigosu@ccc.com [코딩, 해킹] <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요?  

A1. 정규화를 통한 테이블 수정

사용자 정보에서 취미(Hobby) 필드값으로 배열이 들어갈 경우, 이를 정규화하여 별도의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. 취미 필드를 별도의 테이블로 분리하면, 각 취미마다 복수개의 사용자가 존재하더라도 문제 없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id name age email
1 김코딩 19 mailto:kimcoding@aaa.com
2 박해커 28 mailto:hackerpark@bbb.com
3 최고수 18 mailto:choigosu@ccc.com
id user_id hobby
1 1 코딩
2 2 해킹
3 3 코딩
4 3 해킹

출처 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데이터베이스_정규화

Q2. 배치 작업의 예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? 거래(트랜잭션), 리포트, 요금 계산은 배치 작업의 대표적인 예입니다. 이 키워드를 사용해 배치 작업을 설명해보세요.


A2. 배치 작업

배치 작업은 일괄처리 작업으로, 특정 시간이나 주기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, 거래(트랜잭션) 작업은 매일 정해진 시간에 처리되며,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는 작업입니다. 리포트 작업은 매주 월요일에 처리되며, 데이터를 집계하여 보고서를 만드는 작업입니다. 요금 계산 작업은 매월 1일에 처리되며, 고객들에게 청구서를 발송하는 작업입니다.

출처 : https://www.tibco.com/ko/reference-center/what-is-batch-processing


Presentation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 🤠

댓글남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