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3-03-16 Presentation
카테고리: Presentation
Q1. HTTP의 메소드와 CRUD(create/read/update/delete)를 적절하게 짝짓고, POST와 PUT의 차이점을 설명하세요.
CRUD | HTTP |
---|---|
생성 (Create) | POST |
읽기 (Read) | GET |
갱신 (Update) | PUT / PATCH |
삭제 (Delete) | DELETE |
POST
: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 요청 바디에 새로운 리소스의 데이터를 담아 서버에 전송하면, 서버는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하고 그 리소스의 URI를 응답으로 반환합니다.
PUT
: 특정 리소스를 갱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 PUT
요청 바디에 갱신할 리소스의 데이터를 담아 서버에 전송하면, 서버는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요청된 리소스를 갱신합니다. 따라서 PUT
요청은 클라이언트가 리소스의 전체 내용을 알고 있을 때 사용됩니다. 만약 일부 내용만 갱신하고 싶을 때는 PATCH
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Q2. HTTP 응답 코드의 200, 300, 400, 500번대의 특징과 차이점을 설명하세요.
HTTP 응답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낸 후, 서버가 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3자리 숫자입니다.
- 200번대 : “성공”을 의미하며,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나타냅니다.
GET
요청에서는 요청한 자원이 메시지 본문에 포함되어 전송되며,HEAD
요청에서는 표현 헤더가 메시지 본문 없이 응답에 포함됩니다.PUT
이나POST
요청에서는 수행 결과를 설명하는 자원이 메시지 본문으로 전송됩니다. - 300번대 : “리다이렉션”을 의미하며,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가 다른 위치로 이동되었거나 변경되었음을 나타냅니다. 클라이언트는 새로운 위치로 재요청하도록 안내받게 됩니다.
- 400번대 : “클라이언트 오류”를 의미하며,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부적절하거나 잘못되었음을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, 존재하지 않는 자원을 요청하거나, 권한이 없는 자원에 접근하는 등의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.
- 500번대 : “서버 오류”를 의미하며,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할 수 없거나 오류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,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거나, 처리할 수 없는 요청을 받은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.
따라서, HTTP 응답 코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나타내며,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서버와의 통신 결과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. 200번대는 성공적인 응답을, 300번대는 리다이렉션을, 400번대는 클라이언트 오류를, 그리고 500번대는 서버 오류를 의미합니다.
댓글남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