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3-03-09 Presentation
카테고리: Presentation
Q1. CLI로 ‘test’ 폴더를 만들고, 그 안에 ‘sample.txt’를 생성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명령이 필요한지 적고, 설명하세요.
- test 폴더를 만들기 위해,
mkdir test
를 입력합니다. - test 폴더에 들어가기 위해,
cd test
를 입력합니다. - sample.txt를 생성하기 위해,
touch sample.txt
를 입력합니다.
Q2.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를 학습하고, 이를 정리하세요.
리눅스 운영 체제의 디렉토리 구조는 트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최상위 디렉토리는 루트(root) 디렉토리로 표시되는 “/”입니다. 이 디렉토리 아래에는 다양한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이 위치합니다.
일반적으로 리눅스의 루트 디렉토리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.
- /bin : 바이너리 실행 파일들을 포함한 기본적인 유틸리티들이 위치합니다.
- /boot : 시스템 부팅 시 필요한 파일들이 위치합니다.
- /dev : 디바이스 파일들이 위치합니다.
- /etc :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위치합니다.
- /home :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합니다.
- /lib :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위치합니다.
- /media : 외장 디스크, USB 드라이브 등의 장치를 마운트할 때 사용되는 마운트 포인트입니다.
- /mnt : 일시적으로 마운트할 때 사용되는 마운트 포인트입니다.
- /opt :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옵션 디렉토리입니다.
- /proc : 프로세스와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입니다.
- /root : 시스템 관리자(root)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합니다.
- /run : 시스템 런타임 데이터가 위치합니다.
- /sbin : 시스템 관리자(root)가 사용하는 바이너리 실행 파일들이 위치합니다.
- /srv : 네트워크 서비스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위치합니다.
- /sys : 장치 드라이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입니다.
- /tmp : 임시 파일들이 위치합니다.
- /usr : 사용자 관련 파일들이 위치합니다.
- /var : 시스템 로그 파일들이 위치합니다.
댓글남기기